반응형

반응형

글로벌 자동차 분류기준 A~J세그먼트, 경차부터 초호화 슈퍼카까지

 

전세계 각지의 자동차 분류는 다양하지만 각자의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.

예를들면 ~

소형, 준중형, 중형, 준대형, 대형 등 세금부과 기준에 따른 배기량(cc)에 따라 분류되는 것은 한국 기준이며,

세단, 쿠페, 해치백, 리무진, 왜건 등 용어는 미국의 자동차 분류 기준이죠.

A~F까지 차량의 크기를 기준으로 나눈 세그먼트는 유럽의 분류 기준입니다!

 

* 한국 자동차 분류 기준 *

(자동차 관리법 제2조 승용, 승합, 특수, 화물, 이륜차 구분)

 

1. 승용차(10인 이하) 세금부과 엔진베기량 기준 세분화 (링크)

경차 1,000cc 미만 / 길이 3.6m ,너비 1.6m, 높이 2.0m이하 / 5인승 이하 (예시 : 현대 캐스퍼)
소형 1,600cc 미만 / 길이 4.7m ,너비 1.7m, 높이 2.0m이하 / 10인승 이하 (예시 : 현대 엑센트)
준중형 1,300cc~1,600cc / 길이, 너비, 높이가 소형차를 초과 / 10인승 이하 (예시 : 현대 아반떼)
중형 1,600cc~2,000cc / 길이, 너비, 높이가 소형차를 초과 / 10인승 이하 (예시 : 현대 쏘나타)
준대형 1,800cc~2,000cc / 길이, 너비, 높이가 소형차를 초과 / 10인승 이하 (예시 : 현대 그랜저)
대형 2,000cc 이상 / 길이, 너비, 높이가 소형차를 초과 / 10인승 이하 (예시 : 기아 K9)

경차 (City car, Urban car / A segment) : i10, 모닝, 레이, 스파크, 캐스퍼

소형차 (Subcompact car / B segment) : i20, 엑센트, 프라이드, 아베오

준중형차 (Compact car / C segment) : i30, 아반떼, K3, SM3

중형차 (Mid size car / D segment) : i40, 쏘나타, K5, 말리부, SM5, SM6

준대형차 (Full size car / E segment) : 그랜저, K7, 아슬란, G80, SM7

대형차 (Full size luxury car / F segment) : 체어맨 W, K9, EQ900

소형 SUV : 코나, 스토닉, QM3, 티볼리, 트랙스

준중형 SUV : 투싼, 스포티지, 코란도C

중형 SUV : 싼타페, 쏘렌토, QM6, 캡티바

대형 SUV : , 모하비, 렉스턴

소형 RV : 쏘울, 올란도, 카렌스

대형 RV : 카니발, 스타렉스, 코란도 투리스모


준중형버스 : 카운트, 레스타

중형버스 : 에어로타운, 그린시티, BH090, BS090

대형버스 : 슈퍼 에어로시티, 블루시티, 유니시티, 유니버스, 그랜버드, BS106, FX시리즈

소형트럭 : 포터, 봉고

중형트럭 : 마이티, 메가트럭

대형트럭 : 뉴 파워트럭, 엑시언트


2. 한국 통행료 (고속도로, 터널, 다리 등 유료도로 통행료 부과기준)

출처 : 한국도로공사

1종 (소형차) 2축 차량, 타이어 폭 27.94cm 이하 승용차, 소형승합차, 소형화물차(1톤)
2종 (중형차) 2축 차량, 타이어 폭 27.94cm 초과, 타이어 폭 180cm 이하 중형승합차, 중형화물차(2.5톤)
3종 (대형차) 2축 차량, 타이어 폭 27.94cm 초과, 타이어 폭 180cm 초과 대형승합차, 대형화물차(4.5~9톤)
4종 (대형화물차) 3축 대형화물차
5종 (특수화물차) 4축 이상 특수화물차
6종 (경형자동차) 배가량 1,000cc 미만 / 길이 3.6m, 너비1.6m, 높이 2.0m 이하 경차

 

* 미국 자동차 분류 기준 *

 

1. 미국 법적 기준 세분화 (총 13가지)

마이크로컴팩트(Minicompact), 서브컴팩트(Subcompact), 미드사이즈(Midsize), 라지(Large), 투시트(Two-seater), 미니밴(Mini van), 카고밴(Cargo van), 승용밴(Passenger van), 스몰SUV(Small SUV), 일반SUV(Standard SUV), 스몰픽업(Small pickup truck), 일반픽업(Standard pickup truck), 특수목적차량(Special purpose vehicle)


2. 통행료 및 렌트카, 자동차 용어 기준 세분화

세단 문이 4개인 일반적인 자동차
컨버터블 전장 개폐가 가능한 오픈카
쿠페 문이 2개이고 천장이 낮은 자동차
해치백 트렁크와 뒷문이 같이 열리는 자동차
리무진 앞 열 대비 뒷 열의 공간이 넓은 자동차
왜건 천장이 트렁크까지 수평구조인 자동차

* 유럽 자동차 분류 기준 *

 

1. 유럽식 세그먼트 기준 세분화

A세그먼트 경차 + 초소형 경차 3,500mm 이하
B세그먼트 소형차 3,850mm 이하
C세그먼트 준중형차 4,300mm 이하
D세그먼트 중형차 + 준중형 럭셔리카 4,700mm 이하
E세그먼트 소형차 + 중형 럭셔리카 4,700mm 이하
F세그먼트 소형차 5,000mm 이하
S세그먼트 스포츠카, 슈퍼카, 컨버터블, 로드스터
M세그먼트 특수목적 미니밴
J세그먼트 오프로드 차량 포함 SUV
Euro NCAP (유럽신차평가프로그램) : 자동차 안전 성능 평가 프로그램 기준

A세그먼트 : i10, 모닝, 스파크, 캐스퍼, 카, 업

B세그먼트 : i20, 엑센트, 프라이드, 아베오, 피트, 베르사, 마치, 피에스타

C세그먼트 : i30, 아반떼, K3, 씨드, 크루즈, 시빅, 프리우스, 센트라, 펄사, 골프, 제타, A클래스, 1시리즈

D세그먼트 : i40, 쏘나타, K5, 말리부, 캠리, 어코드, 알티마, 몬데오, G70, C클래스, CLA클래스, 3시리즈

E세그먼트 : 그랜저, 아슬란, K7, G80, E클래스, CLS클래스, 5시리즈, 6시리즈

F세그먼트 : EQ900, 체어맨, K9, 뮬산, 고스트, S클래스, 7시리즈

 

* 일본 자동차 분류 기준 *

 

1. 일본 법적 기준 세분화

경차 660cc이하 / 길이 3.4m ,너비 1.48m, 높이 2.0m이하 / 4인승 이하
소형차 2,000cc이하 / 길이 4.7m ,너비 1.7m, 높이 2.0m이하 / 10인승 이하
일반차 엔진 배기량 무관 / 길이, 너비, 높이가 소형차를 초과 / 10인승 이하

 

* 세계적인 자동차 분류기준 *

한국 미국 유럽 (세그먼트) EuroNCAP 예시 모델 (링크)
- 마이크로 자동차 - - 스마트 포투
경차 서브컴팩트 자동차 A 세그먼트 슈퍼 미니 자동차 현대 캐스퍼
소형차 B 세그먼트 현대 엑센트
준중형차 컴팩트 자동차 C 세그먼트 소형 가정용 자동차 현대 아반떼
중형차 중형차 D 세그먼트 대형 가정용 자동차 현대 쏘나타
고급 엔트리카 BMW 3시리즈
대형차 대형차 E 세그먼트 익스큐티브 자동차 현대 그랜저
중형 고급차 제네시스 G70
대형 고급차 F 세그먼트 - 제네시스 G90
스포츠카 스포츠카 - - 기아 스팅어
- 컨버터블 - - BMW 3시리즈
- 로드스터 - 로드스터 BMW Z4
MPV 미니밴 D 세그먼트 MPV 기아 카니발
준중형 SUV 컴팩트 SUV C/D 세그먼트 소형 오프로더 현대 투싼
- 중형 크로스오버 SUV E 세그먼트 대형 오프로더 BMW X5
중형 SUV 중형 SUV E 세그먼트 현대 싼타페
준대형 SUV 대형 SUV - 현대 펠리세이드

 

 

 

자동차 메이커 텔러

1. 자동차 시장 조사 및 신규 차종 코드명 (프로젝트명)

skadlf3333.tistory.com

반응형

'자동차 시장 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동차 '안전' 사양 및 옵션  (0) 2021.08.05
반응형

 

자동차 '안전' 사양 및 옵션 알아보기

 

 

* 에어백 부분 *

- 운전석 : 스티어링 휠 가운데 위치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과 부딪히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.

 

- 동승석 : 동승석 앞쪽의 대시보드에 위치해, 동승자의 안전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

 

- 운전석 무릎 : 스티어링 휠 아래 장착되어 충돌 시, 운전자의 하체를 보호해 줍니다.

 

- 사이드(앞) : 운전석과 동승석 왼쪽, 오른쪽에 위치한 에어백으로 측면 충돌 시 앞좌석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해 줍니다.

 

- 사이드(뒤) : 뒷자석 양 옆에 위치하여, 측면 충돌 시 뒷자리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해 줍니다.

 

- 커튼 : 창문을 따라 커튼처럼 펼쳐진다 해서 커튼 에어백 입니다. 커튼 에어백은 측면 충돌 시 탑승자의 머리가 유리창에 부딫히는 것을 막아줍니다.

 

동승석 무릎 : 동승석 대시보드 아래 장착되어 충돌 시, 동승자의 하체를 보호해 줍니다.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* 주행안전 부분 *

- ABS (Anti-lock Brake System) : ABS는 급제동 상황에서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입니다. ABS는 바퀴가 잠기지 않도록 제동 동작을 1초에 10회 이상 반복합니다.

 

- 전방 추돌 경고 : 전방의 충돌 위험을 감지,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입니다.

전방 추돌 경고

- 전방 자동 긴급제동 : AEB (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)로 불리는 자동긴급제동장치는 차량이 전방의 앞 차량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,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시스템입니다.

 

- 차선 이탈 경고 : LDWS(Lane Departure Warning System)로 불리는 차선이탈경고시스템은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입니다. 차선 이탈 시 경고표시, 핸들 진동, 경고음 등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줍니다.

차선 이탈 경고

- 후측방 사각 지대 경고 : BSD(Blind Spot Detection)로 불리는 후측방사각지대경고 기능은 운전자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차량이나 장애물에 대해 경고를 해주는 시스템입니다.

후측방 사각 지대 경고

- 후측방 충돌 방지 보조 : ABSD(Active Blind Spot Detection)로 불리는 후측방충돌방지보조 기능은 사각지대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 뿐만 아니라 경고에도 불구하고 사각지대로 계속 진행된다면 차량 스스로 이를 제어해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입니다.

 

- 경사로 밀림 방지 : HAC(Hill-start Assist Control)로 불리는 경사로밀림방지 시스템은 경사로에서 브레이크를 해제해도 약 2초간 브레이크를 잡고 있는 시스템입니다. 이를 통해 밀림 없이 안정적인 언덕 출발을 제공합니다.

 

- 부주의 운전 경보 : 운전자의 주행 시간이나 운전 패턴을 분석해 부주의 판단이 되면 운전자에게 휴식을 권하는 메시지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입니다.

 

- 타이어 공기압 경고 : TPMS(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)로 불리는 타이어공기압경고 기능은 타이어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공기압 상태를 제공합니다.

 

- 주행 조향 보조 : 차선 이탈 자동 복귀 시스템 LKAS(Lane Keeping Assist System)으로도 불리는 주행조향보조 기능은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면 차 스스로 운전대를 조작해 차선 안으로 복귀 시키는 시스템입니다.

주행 조향 보조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

반응형

+ Recent posts